들어가기 앞서, 게임 기획자로서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어야하는 툴은 정해진 것이 없다.
회사 별로, 프로젝트 별로, 팀 별로 사용하는 툴이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게임 엔진만 보더라도 같은 장르에서도 언리얼, 유니티, 코코스 또는 자체 엔진 등으로 모두 사용하는 툴이 제각각이다.
따라서 내가 연구하고자하는 장르가 무엇인지 명확히 타겟팅을 하고,
그 장르에서 주로 사용하는 툴이 무엇인지 조사한 다음에 툴을 익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할 수 있다.
문서 작성 툴
가장 기본적인 문서 작성 툴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툴이다.
엑셀과 파워포인트가 가장 대표적이다.
(종종 VBA 를 사용하시는 분이 있는데, 직군에 따라 다르지만 밸런스쪽 외에는 크게 사용하지 않는 듯 했다. 만약 VBA 를 사용할 정도면 이미 최소 파이썬을 잡고 계실 듯 하다.)
구글에 game design powerpoint 라고만 검색해도 수많은 ppt 들이 나올 것이다.
파워포인트를 사용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화면을 제작할 때 (시스템이든 컨텐츠든 무엇이든...) 도형을 편집하기 쉬운 툴이기 때문이다.
또한 "설계도"를 작성하기 위해 누군가에게 전달하는 문서로써 편집하기도 매우 쉽기 때문이다.
수정하기 쉽고, 접근하기 좋고, 사용이 어렵지 않은 툴이기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전에는 종종 기획서를 엑셀로도 쓰는 경우가 있었는데 요새는 거의 다 파워포인트를 사용하는 듯 하다.
(엑셀의 장점은 파워포인트 처럼 쪽수 별로 문서가 끊기지 않아 원하는 만큼 단락을 나눠 사용할 수 있다.)
가끔 워드나 피그마로 사용하는 곳이 있는데 이력서 제출할 때도 pdf 로 제출해달라하는 것을 보면 그 수는 많지 않을 거라 생각한다.
생각해보니 작년 프로젝트에서는 워드 사용했네 🙃
그리고 문서 폼 자체는 프로젝트마다 다르겠지만 내용은 이전에 말한 것과 같이 정의, 구성, 화면, 규칙이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초보자일수록 필요한 정보를 분리하여 쓰는 연습을 하는 게 좋다.
👉 기획서 쓰는 법 문서 참고
https://okayletsgo.tistory.com/6
[게임 디자인] 게임 기획서 쓰는 법
어떤 레퍼런스 자료 없이 게임 기획서를 쓰려하다 보면 막막하다.어떻게든 홀로 기획서의 양식을 만들어 작성한다고해도 새로운 팀에 들어간다면 새로운 양식에 적응하여 문서를 작성해야 한
okayletsgo.tistory.com
그리고 필요 역량이나 우대 사항 등에 종종 써있는 Confluence, Jira...
협업 툴이지만 문서 작성 툴로도 사용된다.
Confluence 는 버전별로 다르겠지만 word 보다 좀 더 나은 UI 그리고 협업에 편리한 추가 기능으로 업그레이드 된 word 느낌이다. word 를 사용한 사람이라면 문제없이 사용할 듯.
어쩌면 티스토리 블로그와 비슷할지도.
이렇게 흔히 쓰는 커뮤니티 게시판 등도 이용할 수 있고, 대시보드 등을 통해 프로젝트 관리도 가능해서 노션, 네이버 카페, 티스토리 블로그 등을 모두 써봤다! 하면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다.
내부 글쓰기는 워드와 비슷하다.
만약 여력이 된다면 트렐로, 아사나와 같은 협업 툴도 조금 다뤄보면 좋을 듯 하다.
게임 엔진
요새 한창 뜨고 있는 것은 언리얼.
아직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은 유니티.
그리고 종종 올라오는 자체 엔진.
유니티 같은 경우 캐주얼 게임에서 많이 쓰인다.
요새 언리얼의 고급진 매쉬와 모션 등으로 유니티가 무시당하고 있는데 😭
한창 유행했던 게임들 상당수도 유니티로 만들어졌다.
Getting Over it(2017), Lethal Company (2023), 데이브 더 다이버(2023), 젠레스존제로(2024) 등
주로 캐주얼 류에서 많이 작업을 하니 캐주얼 작업을 한다면 유니티 공부를 추천한다.
언리얼 엔진.
3d 작업에 아주 유리하다 보면 된다. (개인적으로 3d 작업을 할 땐 유니티보다 훨씬 간편하고 좋았다.)
참고로 한국의 많은 리니지 라이크 rpg 게임들은 언리얼로 만들어졌다고 보면 된다.
미르4 모바일(2024), 아키에이지2(2024), 프로스트펑크2(2024), 검은신화 오공(2024) 등
자체엔진은 따로 적진 않지만 (자체 엔진이기 때문!!)
언어는 주로 C++, C# 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만약 코딩이 좀 필요한 직무일거라 예상이 된다면 간단한 기초 문법 정도는 공부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만약 코드와 친하지 않은 파트라면 기획 공부를 더 하는 것을 추천한다.
'게임 기획 > Game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 디자인] 게임 운영 실무에서 사용하는 단어와 개념들 (게임 지표 용어) (1) | 2025.01.25 |
---|---|
[게임 디자인] 게임 데이터 테이블 작성의 기본 (0) | 2025.01.12 |
[게임 디자인] 역기획서 작성하는 법 ② (2) | 2024.11.15 |
[게임 디자인] 역기획서 작성하는 법 ① (0) | 2024.11.15 |
[게임 디자인] 게임 기획서 쓰는 법 (4) | 2024.11.14 |